‘윤심‘에 가까운 김기원 의원 유리
안철수 ‘변수’로 투표율 더 높여야
나경원 불출마 선언해 ‘흥행 요원’
비윤 대표주자 유승민도 ‘두문불출’

국민의힘 ‘3.8 전당대회’가 김기현·안철수 의원의 ‘투톱 체제’로 굳어지면서 10만여 명에 이르는 비윤계 표심이 길을 잃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정치 저관여층인 당원들의 관심마저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적극 지지층 중심의 투표가 예상되는 가운데 '윤심'에 더 가까운 김기현 의원에게 유리해졌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안철수 의원은 변수를 만들어 투표율을 높여야 하는 입장이 됐다.

당의 한 당직자는 "애초 이번 전당대회는 대선을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를 선출했을 때나, 대선후보를 정할 때보다 관심도가 낮은데다 나경원 전 의원까지 불출마를 선언해 큰 흥행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며 "열성 당원 중심의 투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비윤의 대표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이 2주 넘게 두문불출(杜門不出) 하고 있다는 점도 전당대회 흥행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유 전 의원이 출마하면 ‘친윤 대 비윤’이란 프레임으로 관심도가 높아지겠지만, 다른 당권주자들과 달리 그의 행보가 기자들의 눈에 잡히지 않고 있다.
당 소속 한 의원은 "이미 당권주자들이 전국을 돌며 당원들과의 접촉을 늘리고 있는데, 유 전 의원은 보이지 않는다"며 "고심이라기보단 출마하지 않는 쪽에 무게를 두는 것 같다"고 전망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비윤계를 지지하는 당원들은 당대표 선거에 참여할 여건이 약해졌고, 저관여·중도 성향의 당원을 유인할 요소도 눈에 띄지 않고 있다.
당 관계자는 "이준석 대표를 지지하며 새로 유입된 젊은 당원들이 최소 10만명 규모로 예상되는데 이들은 이제 누가 당대표가 되든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며 "직전 민주당 전당대회처럼 투표율 자체가 낮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선두권인 두 후보 측 모두 투표율에 따른 유불리까진 염두에 두지 않는다는 입장이나, 당내에선 투표율이 낮을 경우 김기현 의원에게 훨씬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투표에 적극 참여하는 전통 지지층에서 김 의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투표율이 낮을수록 조직력의 힘이 더 강하게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의 한 고위관계자는 "80만 당원이 선거인단이라 표심을 읽을 수 없다지만, 투표율이 낮으면 전국 당협위원장들에 기반한 조직표가 작동키 쉬운 환경이 될 것"이라며 "변수가 없다면 당에 오래 몸담은 김 의원이 실제 여론조사보다 더 큰 차이로 승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2위인 안철수 의원 입장에선 투표율을 높여야 반전을 노릴 수 있을 전망이다. 안 의원은 나경원 전 의원의 불출마 선언 후, 당 지지층을 조사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33.9%의 지지를 받아 김 의원(40%)을 오차범위 안에서 추격하고 있다. 직전 조사보다 16.7%p 수직 상승한 수치다.
이와 관련, 당 관계자는 "안 의원이 ‘김기현 의원으론 안 된다’는 네거티브를 더 선명하게 꺼내들 수밖에 없어 보인다"며 "투표율이 역대 최다였던 이준석 대표 선출 때(45.3%)는 아니더라도 그에 버금가는 수치는 나와야 해볼 만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