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한 번쯤은......
상태바
살면서 한 번쯤은......
  • 조석중 경영학 박사  csj0881@naver.com
  • 승인 2023.06.13 17:4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석중 경영학 박사
조석중 경영학 박사

| 중앙신문=조석중 경영학 박사 | 우리가 살면서 한 번쯤, 무의식적 따라감으로부터 의식적 벗어남을 고찰(考察) 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우리는 현시대의 거대담론에 눌러 자기 관찰의 의지가 약화되었다. 아울러 나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려 한다. 이와 더불어 다가옴에 대한 위기감도 약화되는 분위기다. 이 같은 현상은 시대가 낳은 우리의 정신적 소홀함의 결과이다. 그로부터 우리는 정신적, 육체적 안정감에 익숙해졌다. 또한 그러한 안정감을 애써 갈망한다. 지나간 우리의 사고력은 엄격한 학습에 의해 길들여져 있었다. 이로 인해 우리의 생각하기의 수고로움은 게으름을 피우는 중이다. 따라서 자기 정체성이 대중 속 일반적 담론에 매몰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실제로 우리는 집단이나 대중(大衆)의 여론에 휩쓸러 살고 있지 않는가? 예를 들면 각종 미디어나 수많은 여론 형성에 따른 우리들의 정신적 소비 형태가 말해주고 있다. 세속적 기준-부의 축적, 명예-을 신봉하면서 말이다. 여기서 우리의 저항 본능은 사라진 지 오래다. 따라서 각자의 자연스러운 본능이 거세되어 무리 속에 일부로 기생하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현실 속 자기 내면과 씨름 중이다.

이어서 자기 변화에 대한 염려와 두려움을 안고 산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대중 속-세속적 분위기-안락함으로부터 소외될까 봐, 전전긍긍(戰戰兢兢) 하기도 한다. 여기에 있는 우리의 모습은 어떤가. 자기 사랑이 약화되어 자기의 욕망을 거세시키지는 않는가. 게다가 자기표현의 평가를 두려워하는 버릇이 생겼다. 거칠게 표현하면 나 자신이 현실을 살면서 무의식적 따라감의 이득을 보자는 심사(心思)이다. 따져보면 무의식적 따라감이 의식적 벗어남보다 이득이 높다는 결론이다. 우리의 모든 살아감의 과정 중,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함은 우리 스스로의 한계를 서둘러 단정 짓는 결과로부터 나온다. 이는 타인으로부터 사랑받기 위한-덕을 보려는-전략적 행동으로 이어진다. 더 나아가 이성적 사고의 우월함을 신봉하며, 나의 본능적 광기를 스스로 자제한다. 자기 안에 도사리는 저항본능을 나쁨이라고 간주한다. 이윽고 우리는 행복이라는 기준을 자기 평화로 설정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무의식적 따라감에 대한 고찰에 동의한다면, 우리가 이대로 살아야 되는지 되물어 볼 수 있다.

이제 우리는 스스로 성찰(省察)하기를 시도해야 한다. 이는 다가옴에 대한 기대와 염려를 기반으로 가능성을 열어놓는 작업이다. 이러한 가능성은 나 자신을 알고자 하는 열망으로 표현된다. 열망하는 의지의 발휘는 자신을 넘어서 스스로 주인이 되겠다는 자신을 향한 다짐이다. 욕심을 부리자면 우리의 시선을 채워지지 않는 불만(不滿)’으로 옮겨야 한다. 채워지지 않는 불만은 자기로 향한 불만이다. 나는 나로 살고 있는 걸까?’를 질문해 보는 자세이다. 이로써 나에게 채찍을 가하는 용기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한 용기는 소중한 나의 살아감에 의미를 발견할 여는 의지의 발동이다. 나아가 우리에게 다가옴에 대한 기대는 올바름의 추진으로 이어진다. 이와 더불어 나의 역사를 무엇으로 채워야 하는가를 질문하게 될 것이다. 내가 살아감에 대한 의구심이 들 때 나는 맹목적 따라감을 의심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나를 잃어버린 삶이 주는 허무함으로부터 나 자신을 데려와야 한다. 이러한 인식아래 나의 살아감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한다. 비로써 나 자신을 찾아 헤매는 하이에나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렇게 나는 이대로 살아도 되는가!’에 대해 나 자신을 들여다보고 의식적 벗어남의 시도를 감행한다.

역설적으로 우리는 대중 속에서 소외되는 맛을 가끔 보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앞서 언급했듯, 우리 앞에 놓인 각종 미디어나 여론으로부터 반동적 시각으로 해석할 여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어서 유일한 자기 사상을 만들어 내어 표현해야 한다. 이는 다가옴에 대한 긍정적 도전과 함께할 것이다. 이러한 상상력의 발휘는 나의 흔적을 남기겠다는 결의이다. 즉 나의 욕망을 일깨우고 고독을 두려워하지 않을 용기를 갖자는 의미다. 우리는 자연을 그리워하는 본능이 있다. 자연으로부터 홀로 느껴보는 자기 성취감은 독립적 사고에 따른다. 더불어 자기 스스로를 되돌아오게 한다. 나의 독립된 의지와 노력이 의식적 정점(頂點)으로 이른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을 꿈꾸는 것은 의심할 수 있는 반항정신이다. 또한 나의 과오(過誤)를 알아채는 능력도 포함된다. 여기서 의식적 벗어남의 실체는 올바른 자기주장을 말할 수 있는 의지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를 실천하는 자세이다. 우리가 이러한 의식적 벗어남을 시도할 때, 개별적 삶의 방향은 서서히 좋음과 올바름으로 향한다. 더 나아가, 우리의 살아감에서 일어나는 부조리에 대한 시정 요구는 빛을 보게 된다. 지금 우리가 사는 여기 있음의 정치, 사회 문제는 철학적 문제와 같다. 우리가 각성(覺醒)하는 철학적 지혜가 정치·사회의 부조리를 당장 올바름으로 이끌지 않는다는 얘기다. 철학은 그 시대를 진단하고 아파하는 사람들의 영향력으로-아주 천천히-좀 더 나은 인간 삶으로 밝혀질 뿐이다. 즉 철학의 지혜는 서서히 대중 속에 녹아내리게 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그로부터 당신은 살아감의 질문을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우리가 알아야 할 건, 우리 앞에 직면하는 개인 및 사회적 부조리가 순탄하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결국 나의 살아감의 책임은 그 해결 가능성을 열어놓는 길을 나 스스로가 만들어야 한다. 언젠가 당신의 살아감 속으로부터 의식적 벗어남을 추구할 여는 번개가 찾아오리라. 그때 당신은 우리 앞에 놓인 각종 부조리의 해결 방안을 올바르게 전개할 것이다. 당신은 위대하고 소중한 사람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당신의 살아감이 다가옴에 대한 책임 있는 삶의 자세이다.

조석중 경영학 박사
조석중 경영학 박사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단독] 3년차 의정부시청 여성 공무원 숨진 채 발견
  • 양평 대표축제 '제14회 양평 용문산 산나물축제' 개막
  • 박정 후보 유세장에 배우 유동근氏 지원...‘몰빵’으로 꼭 3선에 당선시켜 달라 ‘간청’
  • 감사원 감사 유보, 3년 만에 김포한강시네폴리스 산단 공급
  • 김포시청 공직자 또 숨져
  • [오늘 날씨] 경기·인천(20일, 토)...낮부터 밤 사이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