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은 새정부 때나 돼야 얘기 할 사안
추경은 새 정부 들어선 후 얘기해도 돼

국민의힘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코로나19’ 손실보상 100조원 기금 논의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주장대로 협상 대상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김 위원장은 9일 오전 선대위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 기금(100조원)은 우리 당이 ‘코로나19’에 대처키 위한 방안으로 선대위에서 검토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코로나19’ 사태가 장기 국면으로 돌입한 가운데 '100조원 정도 기금' 확보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김 위원장의 해법과 관련해 자신을 포함한 김 위원장과 민주당 윤호중‧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 등 ‘4자 회동’을 제안했으나, 김 위원장이 사실상 거절했다.
김 위원장은 ‘코로나19’ 손실보상 방안에 대해 "민주당과 대처 방안과 우리가 생각하는 대처 방안이 같을 수 없다"며 "우리는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 돼 집권했을 때 ‘코로나19’ 대처 방안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제가 최근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중소기업, 소상공인들을 어떻게 챙겨야 할 것인지에 대해 윤 후보가 말한 50조원을 넘어서 100조원의 기금이 필요할지도 모른다고 했다"며 "코로나 진행 상황으로 볼 때 어떤 경제적인 결과가 나올지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손실보상 기금 마련을 위해 민주당 내에서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거론된 데 대해선 "지금 이미 (내년도) 예산이 벌써 확정됐다"며 "현 정권 임기가 내년 5월 9일 끝나는데, 그 사이에 무슨 추경을 하느냐 마느냐는 현 정부의 상황일 뿐"이라고 직시했다.
따라서 그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 제반 정책을 수립할 때 예산상 필요한 게 있으면, 추경은 그때 가서 이야기 할 사안"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