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은둔·고립형 청년지원책 절실하다
상태바
[사설] 은둔·고립형 청년지원책 절실하다
  • 중앙신문  webmaster@joongang.tv
  • 승인 2023.08.28 15:0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신문 사설] 코로나 속 독감 유행 조짐 심상찮다. (CG=중앙신문)
[중앙신문 사설] 은둔·고립형 청년지원책 절실하다. (CG=중앙신문)

| 중앙신문=중앙신문 |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의 은둔 고립형 청년은 대략 61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2년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실태조사에서는 19~34세 청년 중 고립·은둔 청년이 5%538000명이라는 보고서도 나온 바 있다. 이를 볼 때 100명 중 5명이 사회에서 고립된 청년인 셈이다. 경기도에 327만여 명의 청년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약 147000여 명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지난해 이러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9세에서 39세까지 청년인구 4.5%에 해당하는 129000명이 은둔 고립형 청년으로 파악됐다. 단순 비교만 해도 경기도에 은둔 고립형 청년이 많이 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실태조사조차 안 하고 있다. 근거 조례, 예산 미비 등이 이유다. 이렇다 보니 대책 마련은 고사하고 은둔고립형 청년 관련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고립 청년은 삶의 만족도가 낮다. ‘매우 불만족불만족응답률이 44%나 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은둔·고립 청년이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가족관계 단절이나 진학·취업 실패, 학교·직장 부적응 등등 속사정이 깊다. 하지만 이를 개인적인 문제로만 치부해선 안 된다. 사회 공동체의 문제로 심각히 인식해야 한다. 은둔에서 벗어났다가 좌절해 다시 숨어드는 경우가 적지 않아 더 그렇다. 이들의 대다수가 취업난과 실직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사회의 관심과 배려, 정부의 정책적 도움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만약 이들에게 사회가 손길을 내밀지 않는 다면 청년들은 각종 사회병리 현상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국가적으로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은둔 고립형 청년이 늘어날수록 사회·경제적 활력은 물론이고 국가의 미래 희망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우리의 현실은 암울하기만 하다. 은둔형 외톨이 청년들을 지원할 수 있는 관련법조차 없어서다. 지난 6월 초 경기도의회 유호준 의원(민주·남양주6)이 경기도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안을 대표 발의 했으나 그나마 2020년 제정한 경기도 고독사 예방 및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 조례와 충돌한다는 이유로 상정조차 안 됐다. 청년기에 시작된 은둔 상태가 장년 중년 노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 사회에 미칠 심각성은 클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사실을 놓고 볼 때 지자체만의 일이 아니다. 정부가 적극 나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정치권도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단독] 3년차 의정부시청 여성 공무원 숨진 채 발견
  • 박정 후보 유세장에 배우 유동근氏 지원...‘몰빵’으로 꼭 3선에 당선시켜 달라 ‘간청’
  • 감사원 감사 유보, 3년 만에 김포한강시네폴리스 산단 공급
  • 김포시청 공직자 또 숨져
  • [오늘 날씨] 경기·인천(20일, 토)...낮부터 밤 사이 ‘비’
  • [오늘 날씨] 경기·인천(24일, 수)...돌풍·천둥·번개 동반 비, 최대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