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군마다 제각각이던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 통합
상태바
경기도, 시·군마다 제각각이던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 통합
  • 김유정 기자  julia6122@naver.com
  • 승인 2023.05.21 07: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속기준 통합가이드 마련...교육·수시 교육 병행
원상복구 기간 등 제각각 이었던 ‘단속 사례 정리’
경기도가 그동안 제각각이던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을 통합한 ‘경기도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 통합가이드’를 마련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경기도가 그동안 제각각이던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을 통합한 ‘경기도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 통합가이드’를 마련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경기지역 시·군마다 제각각이던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이 마침내 통합됐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개발제한구역 불법행위 예방과 단속업무를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불법행위 시정명령 이행 기간을 기존 상당한 기간에서 30~50일로 구체화하는 등 제각각 해석했던 단속기준을 통합한 경기도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단속기준 통합가이드를 마련했다.

이번 업무지침서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등 시·군 단속공무원이 참고하는 법령과 사례 중 애매하거나 해석이 분분하던 내용을 도가 형평성 있게 통일했다.

예를 들어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에 대한 시정명령 시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규정하는 상당한 기간을 정해 원상복구를 명함을 두고 시·군별로 1차 시정명령 기간을 90일 또는 30일 등 제각각으로 해석했다. 이에 적발된 민원인들이 형평성 없는 행정이라고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도는 1차 시정명령 기간은 30~50, 2차 시정명령 기간은 1차 시정명령 기간만료일로부터 10일로 통일해 시군별 형평성을 갖추도록 했다.

이외 임차인의 불법행위에 대한 이행강제금 징수 방법 이행강제금 산정기준 불법행위 행정대집행 절차 및 방법 위반행위자를 고발하는 절차 등도 정리했다.

도는 오는 22‘2023년 상반기 개발제한구역 담당 공무원 공동연수(워크숍)’ 교육을 시작으로 매년 상·하반기 정기교육 및 시·군 인사이동 등으로 요청 시 이번 업무지침서 수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류호국 지역정책과장은 개발제한구역 단속업무는 시·군에서도 상대적으로 민원이 많은 기피 업무로 신규 임용자나 경력이 짧은 직원이 배치되는 실정이라며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단속업무를 집행하는 일선 담당 공무원이 자부심을 느끼고 일할 수 있도록 시·군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포천시, 한탄강 ‘가을꽃정원’ 조성으로 관광객 유치 ‘올인’
  • 남동구 ‘소래포구축제’ 15일 개막…인기가수 총출동
  • 인하대 김포메디컬 캠퍼스 조성사업 '안갯속'
  • [오늘의 날씨] 경기·인천(13일, 수)...가을재촉 '비' 소식
  • 연천 호로고루 해바라기 즐기는 시민들
  • [오늘의 날씨] 경기·인천(20일, 수)...비온 뒤 '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