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선 연장’ 등 대중교통 중점
원도심~서울역 광역버스 추진

최근 ‘김포골드라인 사태’로 선제적 대중교통 정책수립 필요성이 화두가 된 가운데, 오산시가 인구 50만 시대를 선제적으로 대응하자는 취지에서, 관내 대중교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1일 오산시에 따르면, 시는 GTX(수도권광역급행전철) C노선, KTX 오산역 정차, 분당선 전철 오산 연장 등 중장기 사업과 버스 교통 등 단기사업 모두 시민 교통복지 핵심사업이라는 생각에서 투트랙으로 집중하고 있다.
단기 대책 중에 ▲가장·세마산업단지 무료 출퇴근 버스 ▲8301번 광역버스 신설이 이미 현실화가 됐으며, ▲원도심↔서울역 간 광역버스 세교2지구↔서울역 간 광역버스 노선 반영을 위해서도 집중하고 있다.
앞서 이권재 시장은 기업규제 해소 및 애로사항 신속처리 등 관내 기업인들의 여건을 보장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기업인들과 소통하며 산단 근로자들의 처우 및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가 오산역 1번 출구 세마역 1번 출구(2노선, 출·퇴근 각 2회)를 출발해 가장·세마산단, 누읍공단을 경유하는 무료 출퇴근 셔틀버스다. 해당 버스는 이달부터 정식 운영에 돌입할 예정이다.
평택 송탄터미널을 출발해 오산역과 운암주공5단지를 지나 성남 야탑역까지 운행하는 8301번 광역버스 도입도 원거리 출퇴근 근로자들의 교통편의를 높였다는 평을 받는다.
이권재 오산시장은 “인구 50만 시대를 대비해 윤석열 대통령 공약사항인 GTX-C노선과 분당선 연장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돼도록 챙기면서, 단기간 내 교통복지를 끌어올릴 수 있는 광역, 시내버스 노선 도입에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