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인천의 향수를 찾아서 ⑯ 신흥동 국내 최초 '사이다 공장'
상태바
옛 인천의 향수를 찾아서 ⑯ 신흥동 국내 최초 '사이다 공장'
  • 남용우 선임기자  nyw18@naver.com
  • 승인 2023.04.26 13: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용우 선임기자
남용우 선임기자

| 중앙신문=남용우 선임기자 | 신흥동(新興洞)은 구한말 인천부 다소면 선창리의 일부로 인천항 개항 이후에 생긴 마을이다. 개항 초기까지 시의 외곽 지역이어서 사람은 거의 살지 않고 화장터와 공동묘지가 있던 곳으로 특히 청일전쟁 당시 사망한 일본군들의 공동묘지가 이곳에 있었다.

그 뒤 사람들이 점차 모여들어 살기 시작하면서, 화장터와 공동묘지는 다른 곳으로 옮겨가고1903년 들어 동네 이름이 화개동(化開洞)으로 바뀌었다. 이 중 바닷가 쪽은1910년대에 매립이 될 때까지 옅은 백사장에 물이 들어오는 곳이 많아 모래 말이라 불리기도 했다.

꽃이 핀다는 뜻의 화개라는 땅이름은 이 동네에 사창가가 있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1900년대 초부터 유곽이 들어서며 크게 번성하자 새로 붙여진 이름이다. 사람들은 흔히 이곳 화개동을 조금 다른 발음으로 화가동이라 불렀다고 한다.

유곽이란 사창가를 일컫는 일본식 표현인데, 개항 뒤 인천에 계속 들어온 일본인들을 따라 몸을 파는 일본 여성들이 들어와 생겼다. 처음에는 지금의 답동 성당 언덕 아래와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주변, 그리고 전동 인일여자고등학교 아랫길 등에 사창가를 형성했다. 이때 이들을 따라 같은 일을 하는 우리나라 여인들도 생기면서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 지역에 상가 또한 계속해서 늘어나자 선화동에 부도루라는 일본식 유곽을 짓고 이곳으로 여인들을 이주시켰다.

1932년 신흥동 전경. (사진제공=중구청)
1932년 신흥동 전경. (사진제공=중구청)

이곳의 유곽은 일제 총독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한국인 공창이었으며 지금의 만석동 등지에는 일본 여자들이 몸을 파는 일본 공창이 있어 모두가 광복 직후 폐지되기까지 계속 자리를 지켰다.

1932년도의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당시 인천의 인구가 5만명, 일본인 인구가 12천명이었는데 이중 몸을 파는 한국여자가 84, 일본 여자가 78명으로 나와 있다. 필자가 생각하기에도1960년대 초 신흥시장 한 쪽에 자리 잡은 유곽은 어림잡아 10여 채가 들어서 영업을 한 것으로 기억된다.

당시 바깥에서 볼 때 조그만 방마다 작은 창문이 나있고 창문은 분홍빛 커튼으로 가져졌으며 커튼 사이로 역시 분홍색 불빛이 새어나왔다. 이 때 사람들은 이곳을 홍등가라고도 불렀는데 이름에 어울리게 분홍색이 유독 많았다.

선화동의 유곽지대는 시간이 지나면서 당국이 윤락행위를 묵인한 이른바 특정지역인 숭의동과 학익동으로 밀려났다. 그리고 이곳은 광복 후 신흥동이라는 새 이름을 얻게 되는데, 글자 그대로 광복을 맞아 새롭게 발전하고 부흥하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흥동 남동부 해안에서 낙섬까지 이어지는 500m의 바다를 일본인들이 1913년 매립해 이곳에 염전을 만들었는데 그 규모가 대단했다. 염전 끝에는 수문을 이용해 바닷물을 담수시킨 뒤 정화된 바닷물을 끌어올려 소금(천일염)을 생산했다.

바다를 매립해 만든 염전.  (사진제공=중구청)
바다를 매립해 만든 염전. (사진제공=중구청)

이곳 저수지는 수심이 어른들 한 키 정도로 깊어 매년 물놀이 도중 익사 사고가 발생했으나 당시는 안전장치는 물론 경고 안내판도 없었던 시절이었다. 또 신흥동 동네 한복판에서부터 시작해 율목 공원으로 올라가는 중턱에 법당(대웅전)을 지어놓은 해광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절개지에 쌓아놓은 석돌의 높이가7~8m 정도였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나는 친구들과 동네 형들이 상금으로 내 걸은 눈깔사탕이 욕심나 석돌을 타고 올라가는 장난을 일삼았다. 물론 떨어지면 크게 다치는 위험을 무릅쓰고 하는 장난이었으니 지금 생각하면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이 밖에도 신흥동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다공장이 있어 더욱 유명했다. 국내 최초로 생긴 스타사이다는 병뚜껑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말로 라무네라고 하는 유리구슬이 병 입구를 막아 사이다의 유출을 방지해주었다. 말 할 것도 없이 유리구슬의 정밀도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어린 마음에는 그저 신기할 뿐이었다. 병을 막고 있는 유리구슬을 손으로 힘껏 밀면 병 안으로 구슬이 떨어지며 사이다를 마실 수 있었다.

특히 사이다를 마실 때 병을 거꾸로 들어 마시는데 한꺼번에 많이 마시지 못하도록 구슬이 병 입구를 막아주는 역할도 했다. 이외에도 크라운 소시지 공장이 있어 오후 5시만 되면 진풍경을 보여줬다. 신흥동 사람들은 물론 이웃 동네에서도 몰려와 소시지를 가공 처리하고 남은 돼지 뼈를 사기위해 공장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렸다.

대가족이 둘러앉자 두부를 만들고 남은 비지와 시큼한 김치에 돼지 뼈를 넣고 끓인 비지찌개의 맛은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그때 그 시절은 왜 그렇게 배가 고팠는지?

남용우 선임기자
남용우 선임기자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단독] 여주에 여섯 번째 ‘스타벅스’ 매장 문 연다...이르면 4월 DT점 오픈
  • 대학교 연못서 여성 시신 발견…국과수 사인 감정 의뢰
  • 옛 인천의 향수를 찾아서 ㊾ ‘송도의 금강’으로 불린 청량산
  • 고양 화정동 음식점서 불, 18분 만에 진화
  • [영상] 고양 일산서구 아파트서 불, 50대 여성 부상
  • [오늘의 날씨] 경기·인천(25일, 월)...흐리다가 오후부터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