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인천의 향수를 찾아서 ⑨ 오픈도
상태바
옛 인천의 향수를 찾아서 ⑨ 오픈도
  • 남용우 선임기자  nyw18@naver.com
  • 승인 2023.03.08 14: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용우 선임기자
남용우 선임기자

| 중앙신문=남용우 선임기자 | 현재 인천에 거주하는 사람 중 오푼도(五分島)를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오푼도는 50년 전인1960년대까지 불리다 사라져간 옛말이 된 것이다. 오푼도는 구한말 다소면 선창리(중구 사동<沙洞>)에 속한 자그마한 섬이었다.

모래가 많은 섬이라 해서 사도(沙島)라 불렸는데 1900년대 초 일본인들이 이 일대 바다를 매립해 자신들이 사는 거류지를 만들면서 육지(지금의 인천항)가 됐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인 거류지(지금의 삼익아파트)뒤쪽에 둑으로 바다를 막아 물을 담수시켜 놓아 인천시민들은 이곳에서 해수욕과 낚시(망둥어)를 즐겼다.

사도는 육지와 연결되기 전 오푼도라 불렸는데 이는 한동안 이 섬에서 일본인과 중국인들이5푼짜리 가짜 돈을 만든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1892년 조선시대 지금 전동의 옛 인천여고자리에 현대식 화폐를 만드는 전환국을 세우고 그동안 사용했던 엽전 상평통보 대신 현대식 주화를 만들기 시작하자 그 기회를 이용해 가짜 돈을 만들었던 것이다.

1900년도초 오픈도 전경. (사진제공=중구청)
1900년도초 오픈도 전경. (사진제공=중구청)

사동은 광복 뒤인1946년 사도와 연관 지어 지은 이름으로 일제 때는 바닷가 마을이라는 뜻으로 빈정(濱町)이라는 이름이 붙기도 했었다. 사동에는 일제의 우리나라 쌀 수탈과 관련된 사연이 많이 서려있다. 일본은 인천항 개항 이후 자신들에게 부족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에 계속 쌀을 수출하라는 압력을 넣었다.

사실 수출이라기보다는 수탈이었지만 그 결과로 1890년쯤부터 수출이 시작됐으며, 1897년 무렵부터는 인천항을 통한 쌀 수출량이 전국 수출량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다. 이처럼 쌀 수탈이 계속되자 가뜩이나 형편이 좋지 않았던 조선의 각 지방에 식량난이 일어나 큰 문제가 됐다.

한 때 조선 왕조는 쌀을 지키기 위해 방곡령을 내리기까지 했으나, 힘이 없어 주권을 잃어가는 처지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쌀 수출이 시작되자 일본인들은1896년 자유공원 일대에 있던 일본 지계에 인천 미두취인소’(지금의 대한통운)라는 기관을 세워 우리의 객주 조직을 제쳐놓고 일본 상인과 일본 정미 업자들이 직거래를 했다.

미두란 증권 거래와 비슷한 것으로, 1석에 1원의 보증금을 미두 중개점에 예치한 뒤 보증금으로 쌀을 거래하며 쌀값 변동에 따라 이익이나 손해를 보는 제도다. 일본이 조선의 주권을 빼앗은 뒤 미두취인소가 총독부의 지원 아래 크게 번성하자 우리나라 사람들도 미두로 떼돈을 벌어보겠다며 인천에 몰려들었다. 하지만 쉽게 쌀값을 조작하는 전문 미두꾼들에게 걸려 패가망신하는 경우가 무척 많았다. 중개점에서 땅문서를 보증금으로 받는 편법까지 생기면서 문제는 더욱 커졌다. 이곳을 찾는 고객의 90%가 한국사람 이었다고 하니 애써 번 돈을 모두 이곳에서 잃고 허망하게 떠나는 일이 비일비재했던 것이다.

충청도 태안의 갑부 권희중이라는 사람이 이곳 미두장에서 가산을 탕진하고 끝내 객지인 인천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이야기 가 전해올 정도다.

옛 오픈도 자리에 들어선 인천 최초의 고층 삼익아파트. (사진제공= 청)
옛 오픈도 자리에 들어선 인천 최초의 고층 삼익아파트. (사진= 남용우 선임기자)

고 신태범 박사는 소금의 생산과 유통이 많아 그렇지 않아도 짠물로 통했던 인천이 이곳 미두장에서 망한 사람들 때문에 더욱더 짜다는 소리를 듣게 됐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이런 와중에도 당시 사동에는 몇 안 되는 조선인 미두중개상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정미소를 경영하며 큰돈을 번 경우가 있었다. 뒷날 상공회의소 회장을 지낸 사업가 유성군씨가 바로 그였다. 이렇듯 많은 사연을 간직한 오푼도는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현재의 삼익아파트 일대에 철조망을 치고 거주했다.

이 때 이곳에서 일을 하던 한국인 노무자들은 식당에서 훔친 고기 덩어리를 비롯해 커피, 토마토 주스, 초콜릿, 과자 등을 비닐에 싸서 철조망 넘어 하천(갯골)으로 던진 후 퇴근길에 주워가곤 했다.

당시에는 지금의 용현갯골에서 삼익아파트까지 갯골로 이어져 바닷물이 들어왔다 나갔다. 이 때 커피나 토마토 주스 같은 통조림류는 썰물 때 바닷물에 떠내려가 오푼도에서 해수욕을 즐기다 돌아오는 시민들이 횡재를 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영어를 잘 모르던 시민들이 떠내려 오는 깡통은 모조리 건져 집으로 가지고 왔다. 이를 부모님이 열어보고 커피 등과 같은 식품은 크게 반겼으나 이에 반해 토마토 주스는 깡통은 엄청 컸으나 입맛이 맞지 않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토마토 주스가 낯 설은 식품으로 비위에 맞지 않았던 것이다. 영어를 일찍 알았어도 선별을 해서 주었을 텐데 말이다. 이렇듯 많은 추억을 남긴 채 오픈도는 우리의 기억에서 사라져가는 지명이 됐다.

남용우 선임기자
남용우 선임기자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단독] 여주에 여섯 번째 ‘스타벅스’ 매장 문 연다...이르면 4월 DT점 오픈
  • 대학교 연못서 여성 시신 발견…국과수 사인 감정 의뢰
  • 옛 인천의 향수를 찾아서 ㊾ ‘송도의 금강’으로 불린 청량산
  • 고양 화정동 음식점서 불, 18분 만에 진화
  • [영상] 고양 일산서구 아파트서 불, 50대 여성 부상
  • [오늘의 날씨] 경기·인천(25일, 월)...흐리다가 오후부터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