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진출 100억원(4년), 주택보증금 등 신규지원

인천광역시가 해외진출 청년에게 100억원(4년)과 주택임차보증금 등을 지원하는 ‘2023년 인천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발표 했다. 시는 이번 청년지원정책은 청년들의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등 자립과 일상을 아우르는 맞춤형 지원책이라고 설명했다.
7일 인천광역시에 따르면, 시는 청년창업 및 해외진출 지원, 청년 취업역량 및 일자리 창출, 청년의 취업 주기별 맞춤형 지원, 청년 주거안정 지원을 올해 주요 정책방향으로 설정하고,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대 분야, 총 71개 세부사업에 지난해 대비 160억원 증가한 1051억 원의 청년예산을 반영한 ‘2023년 인천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우선 시는 일자리 분야 27개 사업에 약 218억원을 투입해 청년창업과 해외진출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을 추진할 방침이다. 청년창업 지원을 위해 벤처·창업기업 투자펀드 조성(조성목표: 3년간 600억), 중장년 전문가 매칭컨설팅을 통한 신개념 세대융합 창업지원, 청년 창업공간 유치 등을 지원한다.
청년들이 진취적으로 창업에 도전하고,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청년 해외진출기지 지원 사업’(소위 청.진.기.사업)을 추진해 4년간 100명(팀)의 청년창업가에게 각 1억원씩 총 100억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으로 649명 청년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해 청년 취업을 지원한다.
주거 분야에는 8개 사업에 약 468억원을 투입해 청년층 수요에 맞춘 청년 주거안정 사업을 추진한다. 중앙부처 사업인 청년월세 한시지원 사업은 만19세~34세까지만 지원되지만, 시는 이를 확대해 만39세까지 지원한다. 이외에도 시는 주택임차보증금 이자(2%)지원,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을 신규로 추진하며, 청년주거단지(검단신도시 워라밸 빌리지 4500세대) 조성, 청년임대주택(5년간 2800호) 공급 등 청년주거안정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교육 분야에는 16개 사업에 47억원을 투입해 항공정비(MRO), 데이터인공지능(AI)기술, 의료 코디네이터, 문화콘텐츠, 친환경, 국제기구, 마이스(MICE), 행정 분야 등 분야별 청년 전문인력 양성 및 인턴십 지원과 학자금 및 대출이자 지원도 지속 추진하기로 했다.
복지·문화 분야에는 15개 사업에 304억원을 투입해 청년 생활안정 및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한다.
시설 등에서 보호가 종료되는 자립준비청년 지원(1천만원), 드림체크카드(구직활동비 최대 3백만원), 재직청년 복지포인트 지원(최대 120만원), 드림포(for)청년통장 사업(3년 적립시 1천만원 목돈마련) 추진 등을 통해 청년의 자립과 근로안정 및 자산형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문화 및 관광 활성화 사업, 청년문화창작소 운영, 유니크베뉴 체험단 운영 등을 통해 청년층의 문화·관광 활동을 지원한다.
참여·권리 분야에는 5개 사업에 11억원을 투입해 청년 참여와 활동기반을 강화한다.
청년참여 위원회 확대, 청년정책네트워크 등 청년참여기구 활성화, 청년공동체 활성화사업 추진 등을 통해 청년층의 시정 참여기회를 확대한다. 청년들의 활동 및 지원공간(유유기지)는 지난해 4개소에서 8개소로 대폭 늘어나고, 청년포털을 고도화해 종합지원 원스톱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신종은 시 청년정책담당관은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장기화 등에 따른 청년 지원하는 정책에 중점을 뒀다면, 올해는 청년들이 자립하고, 진취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청년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제안한 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향후 청년들과 소통 기회를 더욱 확대해 맞춤형 청년정책을 신규 발굴하고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