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등 관련부처 실무협의 조성방안 수립

인천시가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시 지역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배후항만 조성방안을 마련한다.
인천시는 24일 ‘인천 해상풍력 배후항만 조성 및 지역산업 연계방안 연구 용역’수행자로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선정하고 용역을 착수했다고 밝혔다.
시는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는 해상풍력사업의 경제적 효과가 지역에 파급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배후항만과 산단을 조성하고 국내·외 앵커기업을 유치해 지역산업과 연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이번 용역을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020년 7월 정부는 해상풍력 발전방안을 통해 2030년까지 해상풍력발전 100배 확대(0.12GW→12GW) 추진을 발표했으며, 인천시도 2027년까지 총사업비 19조원 규모의 해상풍력 3.7GW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용역은 오는 12월까지 7개월간 추진될 예정으로 ▲항만조성의 타당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통한 당위성 확보 해양수산부 등 관련부처 실무협의를 위한 최적의 항만조성방안 수립 ▲해상풍력사업과 지역산업의 연계를 통한 지역경제의 부가가치 창출 방안 연구가 주요 과업에 포함됐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배후항만 조성방안 마련과 함께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지역산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지역 해상풍력산업 생태계를 조사하고 공급망 분석을 통해 고용창출이 높은 분야의 집중육성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