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이 본 세상] 암반에 축조돼 견고한 ‘용두돈대’
상태바
[드론이 본 세상] 암반에 축조돼 견고한 ‘용두돈대’
  • 이복수 기자  bslee9266@hanmail.net
  • 승인 2022.04.02 11:2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일 오후 만난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용두돈대’는 53돈대 중 하나로, 용두돈대 앞 수역은 강화군과 김포시의 경계 이루는 물살이 거센 여울목이다. (사진=김광섭 기자)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에 있는 용두돈대53돈대 중 하나로, 용두돈대 앞 수역은 강화군과 김포시의 경계 이루는 물살이 거센 여울목이다.

다른 돈대들과 다르게 바다로 돌출된 암반을 이용해 만들어져 견고해 보이고, 이로 인해 돈대 앞 물살은 상당히 거세 적의 공격에 유리했을 것으로 보이는 돈대이다.

강화군 해안지역을 따라 축조된 돈대들은, 당시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약 343년 전인 1679(숙종 5)에 만들어진 국방 유적들이다.

고려 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시되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로 훼손되었으나 현재는 복원돼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용두돈대’ 뒤로 손돌목돈대가 보인다. (사진=김광섭 기자)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에 있는 용두돈대. (사진=김광섭 기자)
‘용두돈대’ 앞 수역은 강화군과 김포시의 경계 이루고 물살이 거센 여울목이다. (사진=김광섭 기자)
위에서 본 용두돈대. (사진=김광섭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포천시, 한탄강 ‘가을꽃정원’ 조성으로 관광객 유치 ‘올인’
  • 남동구 ‘소래포구축제’ 15일 개막…인기가수 총출동
  • 인하대 김포메디컬 캠퍼스 조성사업 '안갯속'
  • 모습 드러내는 여주 랜드마크 '남한강 출렁다리'
  • 원희룡 장관 '5호선 합의 안되면 무산' 발언에 "해석 분분"
  • 보행자 우회전하던 시내버스에 깔려...40대 여성 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