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강력한 '경제 방역'이 필요한 때"라고 강변했다.
김 차관은 4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글로벌 실물경제ㆍ금융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리스크 요인들을 감안하면 긴장감을 늦출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으나 전 세계 경제활동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우리 경제가 즉각 반등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대외적으로 국제 유가의 움직임에 대비하고 대외 충격에 취약한 신흥국 상황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산유국들의 성장 전망치가 대폭 하향 조정되고 경상수지, 재정수지 악화가 예상된다"며 "산유국 경제 불안과 금융시장에서의 오일머니 회수 가능성 등은 세계 경제의 교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코로나19가 신흥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충격이 선진국보다 깊고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이미 100개 이상의 신흥국이 IMF 구제금융을 신청하거나 문의했다"고 전했다.
신흥국의 경우 급격한 자본유출, 통화 가치 급락, 외환보유액 감소 등 금융시장마저 불안한 상황이지만 정책 대응 여력은 제한적인 실정이기 때문이다.
김 차관은 이어 "국가부채 증가와 은행 건전성 악화에 직면한 남유럽 국가 중심으로 반(反)유럽연합(EU) 정서가 고조되고 있다"며 "감염병 확산의 책임론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다시 무역 갈등으로 재연될 조짐도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가 세계화와 자유무역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국난 극복의 핵심은 일자리임을 다시 한 번 상기하며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를 발굴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